임산부·어린이·65세 이상 어르신은 언제 맞아야 할까요?
2025~2026절기 독감(인플루엔자) 예방접종이 전국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. 매년 바뀌는 접종 권장 시기와 무료 대상자 기준, 올해는 특히 3가 백신에서 4가 백신 전환, 접종 시기 세분화 등 변경사항이 있어 꼭 확인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
임산부, 어린이, 어르신 등 국가예방접종 무료 대상자는 물론, 일반인의 접종 시기와 비용 정보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.
독감 예방접종, 왜 매년 맞아야 하나요?
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매년 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전년도 접종 이력이 있어도 면역 효과가 이어지지 않습니다.
특히 노약자, 임산부, 기저질환자는 감염 시 합병증 위험이 높아 매년 가을마다 접종이 권장되고 있죠.
2025 독감 예방접종 무료 대상자 정리 (국가예방접종)
구분 무료 대상자 기준 접종 권장 시기
생후 6개월~만 13세 어린이 | 2011.1.1. ~ 2025.8.31. 출생자 | 2025년 9월 11일~ |
임산부 | 임신 여부 관계없이 모든 임산부 | 2025년 9월 11일~ |
만 65세 이상 어르신 | 1959.12.31. 이전 출생자 | 연령별 순차 접종 (아래 참고) |
※ 모든 무료 대상자는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4가 백신 무료 접종
2025 어르신 접종 시기 (연령별 순차 시행)
올해도 고령층 혼잡 방지를 위해 연령대별 접종일이 다르게 시작됩니다.
접종은 9월 말부터 10월 초 사이에 순차적으로 시작됩니다.
출생 연도 대상 연령 접종 시작일
1940년 이전 | 만 85세 이상 | 2025년 9월 25일(수) |
1941~1954년 | 만 70~84세 | 2025년 10월 2일(수) |
1955~1959년 | 만 65~69세 | 2025년 10월 9일(수) |
변경사항: 3가 백신 → 4가 백신으로 전면 전환
2025년부터는 모든 무료 예방접종이 4가 백신으로 전환되었습니다.
기존 3가 백신은 A형 2종, B형 1종만 포함됐던 반면, 4가 백신은 B형 1종이 추가되어 예방 범위가 넓어졌습니다.
구분 포함 바이러스 수 특징
3가 백신 | 3종 | B형 1종 누락 |
4가 백신 | 4종 | B형 2종 포함, 더 넓은 예방 효과 |
일반인 접종 시기 및 비용
무료 대상자가 아닌 경우는 접종 가능 시작일 이후 의료기관별로 접종이 가능하며, 병원별로 가격은 상이합니다.
- 접종 시기: 보통 9월 중순~10월 초
- 비용: 2~4만 원대 (병원에 따라 다름)
- 사전 예약 권장 (특히 대학병원 및 소아청소년과)
접종 전 주의사항
- 감기 기운이 있으면 접종 연기
미열, 기침 증상이 있다면 호전 후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. - 계란 알레르기 있는 경우 사전 고지 필수
일부 백신은 계란 배양 방식이므로 반드시 알레르기 여부를 의료진에게 전달하세요. - 2회 접종 대상 확인 (어린이)
생애 첫 접종인 생후 6개월~만 9세 어린이는 4주 간격 2회 접종 필요합니다.
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임산부는 몇 주차부터 접종 가능한가요?
→ 임신 주수 관계없이 언제든 접종 가능합니다.
Q. 직장인도 회사에서 단체로 맞으면 무료인가요?
→ 회사 복지에 따라 다르며, 국가 무료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으면 유료 접종입니다.
Q. 독감 백신과 코로나 백신을 함께 맞아도 되나요?
→ 접종 간격 없이 동시 접종 가능하나, 이상 반응 모니터링을 위해 별도 접종도 고려됩니다.
결론: 2025 독감 예방접종, 시기 놓치지 마세요!
2025~2026절기 독감 백신은 9월 11일부터 본격 접종이 시작됐습니다.
올해는 4가 백신으로 전면 전환되며, 연령별·대상별로 접종 일정이 달라 미리 확인이 필수예요.
특히 무료 대상자는 정해진 기간 안에만 무료 혜택을 받을 수 있으므로, 기간 내 접종을 꼭 완료하시길 바랍니다.
#독감예방접종2025 #독감무료대상자 #임산부독감접종 #65세이상무료예방접종 #독감백신4가 #인플루엔자202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