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대중교통 붐빌 때, 한강 위를 달리는 새로운 길이 있다
서울의 가을 밤하늘을 수놓는 2025년 세계불꽃축제가 9월 27일(토)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열립니다. 매년 수십만 명이 몰리는 만큼, 교통 혼잡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인데요. 올해는 그 답이 달라졌습니다. 바로 한강버스. 한강을 따라 달리는 친환경 수상 교통수단으로, 여의도를 비롯한 주요 불꽃 명소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 새로운 교통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불꽃축제를 위한 교통 전략, 한강버스 이용법, 준비물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.
한강버스란? 수상 위를 달리는 친환경 좌석버스
한강버스는 여의도, 잠실, 마곡, 망원 등 서울 주요 한강지구를 연결하는 수상 교통수단입니다.
2025년 9월 18일부터 정식 운항을 시작했으며, 총 31.5km 구간에 12척의 친환경 하이브리드·전기 엔진 선박이 운행 중이에요.
도시철도, 마을버스 등과 연계되는 통합 교통 시스템으로, 시민과 관광객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운항 구간 주요 선착장 정차 지점 수
마곡 ↔ 잠실 | 마곡, 여의도, 반포, 잠실 등 | 총 9곳 |
운항 방식 | 고정 시간표, 정시 운행 | 대용량 좌석형 버스 |
요금 방식 | 교통카드 및 기후동행카드 사용 가능 | 무료 환승 제공 |
왜 한강버스를 이용해야 할까?
특히 불꽃축제 당일 같은 대규모 행사엔 한강버스의 효율성이 빛을 발합니다.
- 지하철·버스 혼잡 회피
- 차량 통제·주차 폐쇄 구간 무관
- 여의도 한강변 직접 하선 가능
- 쾌적한 좌석, 여유로운 경관 감상
불꽃축제 당일에는 지상 교통수단보다 훨씬 정시성과 접근성이 높다는 게 실제 체험단의 공통된 의견이에요.
불꽃축제 당일,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까?
한강버스는 기후동행카드 또는 교통카드를 이용하면 바로 탑승 가능합니다.
9월 27일 축제 당일엔 기후동행카드 소지자에 한해 무제한 탑승 이벤트도 진행되므로, 이를 활용하면 더 경제적이에요.
출발지 이용 노선 도착 선착장 예상 소요 시간
마곡 | 한강버스 서부노선 | 여의도 선착장 | 약 35분 |
잠실 | 동부노선 | 여의도 선착장 | 약 40분 |
반포 | 순환노선 | 여의도 선착장 | 약 20분 |
망원 | 북측 연결 노선 | 여의도 선착장 | 약 30분 |
※ 여의도 선착장에서 하선 후 도보 10분 이내에 메인 행사장 도달 가능
축제를 위한 준비물, 이건 꼭 챙기세요
화려한 불꽃도 좋지만, 장시간 야외 대기는 생각보다 체력 소모가 큽니다. 꼭 필요한 준비물을 리스트로 정리해볼게요.
준비물 이유 및 용도
돗자리 | 자리 선점 및 장시간 앉을 때 필수 |
담요·겉옷 | 한강변의 큰 일교차 대비 |
물·간식 | 편의점 혼잡 대비, 간단 식사 |
보조배터리 | 사진·영상·SNS 업로드 필수 |
위생용품 | 물티슈·손세정제 등 위생 관리 |
귀마개·손전등 | 야간 소음·귀가 시 안전 확보 |
자외선 차단제 | 오전 대기 시 햇빛 대비 |
특히 아이 동반 시, 귀마개와 접이식 의자는 필수입니다.
한강버스를 타면 이런 점이 좋습니다
한강버스는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닙니다.
- 교통 체증 없는 이동
- 불꽃축제 입장 대기 전, 여유로운 풍경 감상
- 새로운 교통 경험 제공
- 친환경, 조용하고 쾌적한 이동 환경
장점 효과
수상 이동 | 교통 체증 완화 |
좌석형 대용량 | 가족 단위 탑승에 적합 |
친환경 선박 | 탄소 배출 최소화 |
통합 교통 연계 | 환승 쉬움 |
불꽃 끝나고 귀가할 때는?
귀가 시간은 무조건 혼잡합니다. 그럴 땐 다시 한강버스를 타고 귀가하는 것이 정답!
특히 9시 40분~10시 30분 사이, 여의도 선착장에는 순차적 귀가 탑승 대기 시스템이 적용될 예정이에요.
운영사 측에서 실시간 알림 서비스도 제공 예정이라 대기 시간 확인도 가능하답니다.